화학공학/화공기사

단위공정관리(7) 물질전달 및 흡수 목차 정리

오장육부 2023. 2. 22. 23:51

1. 물질전달 및 흡수

1. 물질전달

1) 물질전달

   같은 상이나 서로 다른 상 사이의 경계면에서 물질이 서로 이동하는 것 → 확산

   - 증류 : 등몰확산

   - 증발, 추출, 흡수, 건조, 조습 : 일방확산

 

2) 확산

   - 분자확산 : 물질 자신의 분자운동에 의해 일어난다. 

   - 난류확산 : 교반이나 빠른 유속에 의한 난류상태에서 일어나는 확산

 

 

2. 물질전달 속도

1) 기상 내의 물질전달 속도

 (1) 물질전달 속도식

 (2) 확산

   - Fick의 제 1법칙 : 확산의 양은 거리에 따른 농도차(농도기울기)에 좌우된다. 즉, 농도차가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확산의 양은 증가한다. 

기상 내의 물질 전달

 

2) 액상 내의 물질전달 속도

 (1) 물질전달 속도식

 (2) 확산

 

3) 경막에 있어서 물질전달 속도

 (1) 기 - 액 두 경막을 통한 기체의 확산속도

 

  * 확산에 관한 이중경막설 : 두 상이 접할 때 두 상이 접한 경계면 양측에 경막이 존재한다는 가정을 Lewis-Whitman의 이중경막설이라 하며, 이때 확산을 일으키는 추진력은 두 상에서의 확산물질의 농도차 또는 분압차이며 주어진 온도와 압력에서 평형상태가 되면 물질의 이동은 정지한다. 

 

 

 (2) 물질전달계수를 구하는 방법

 

3. 흡수장치

1) 흡수(Absorption): 혼합기체 중에서 한 성분을 액에 흡수시켜 분리하는 조작

 

2) 흡수장치

   - 기포탑(Bubble Tower) : 밑으로부터 기체를 강하하는 액중으로 상승공급시켜 향류 접촉시킨다. 

   - 액저탑(Spray Tower) : 상승하는 기류 중에 액이 분산하며 강하하여 흡수가 일어나도록 한다. 

   - 충진탑(Packed Tower) : 충진물질을 채워 접촉면적을 크게 한다. 

 

3) 흡수속도를 크게 하기 위한 방법

   - KL, KG를 크게한다. 

   - 접촉면적 및 접촉시간을 크게 한다. 

   - 농도차나 분압차를 크게 한다. 

 

4) 충진물의 조건

   - 큰 자유부피를 가질 것(공극률이 클 것)

   - 비표면적이 클 것

   - 가벼울 것

   - 기계적 강도가 클 것

   -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 값이 싸고 구하기 쉬울 것

 

5) 충진물질: 라시히 링, 인터록스 새들, 폴 링, 사이클로헬릭스 링, 벌 새들, 레싱 링, 십자간격 링

 

6) 충진탑의 성질

 (1) 편류(Channeling, 채널링) 

   - 액이 한곳으로만 흐르는 현상

   - 방지법 : 탑의 지름을 충진물 지름의 8~10배로 할 것, 불규칙 충전할 것

  +) 8~10배일 때 -> 채널링 최소, 8~10배 보다 작을 때 -> 액이 벽으로 모이는 경향, 8~10배 보다 클 때 -> 액이 중앙으로 모인다. 

 

 (2) 부하속도(Loading Velocity)

  - 기체의 속도가 차차 증가하면 탑 내의 액체유량이 증가하는데, 이때의 속도를 부하속도라 한다. 흡수탑의 작업은 부하속도를 넘지 않는 속도범위에서 해야한다.  

 

(3) 왕일점(Flooding Point, 범람점)

  - 기체의 속도가 아주커서 액이 거의 흐르지 않고 넘치는 점

  -  향류 조작이 불가능하다.

  - 압력강하가 더욱 커진다. 

  - 배출기체는 비말 동반을 일으킨다. 

4. 흡수원리

1) 기체의 용해도 평형

 

2) 흡수속도

 (1) R.Higbie의 침투설 : 기액접촉이 시작된 이후, 농도분포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 

 (2) Fick의 확산 제2법칙

 

5. 충진탑(충전탑)의 설계

1) 충전탑의 물질수지

평형선과 조작선

     + L/V 의 최솟값은 흡수탑 하부에서 농도차가 0이 되어 무한대로 기다란 충전층이 필요하다.

     + L/V가 클수록 흡수의 추진력(구동력)이 커지므로 탑의 높이는 작아도 된다. 그러나 기체의 회수비용은 커진다. 

 

2) 용량계수에 의한 충전탑의 높이 결정

 

3) 이동단위수(NTU) 및 이동단위높이(HTU)에 의한 충전탑의 높이 결정

 Z = H(OG) * N(OG)

(Z: 충전층의 높이/ Hog : 총괄이동단위높이, 전달단위 높이/ Nog: 총관이동단위수, 전달단위수)

 

4) HETP(Height Equivalent to a Theoretical Plate)에 의한 충전탑의 높이 결정

  등이론단높이 : 답의 이상단 한단화 같은 작용을 하는 충전탑의 높이

  HETP = Z/Np = Z/NTP

 

5) 충전탑의 직경

  1. 탑의 직경은 단위시간단 기체량과 이에 대한 유량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2. 보통 탑경의 최솟값으로 왕일점(Flooding Poin)의 50~75%로 한다. 
  3. 탑경은 부하점 이상으로 크지 않도록 필요최소직경으로 한다. 
  4. 충전물 표면을 충분히 적시는 데 필요한 최소 액량 이상이 필요하며 경험상 액량은 4m3/m2.h 이상이 필요하다. 

 

+) 공극률(Porosity)이 0.4인 충전탑 내를 유체가 유효속도 0.8m/s로 흐르고 있을 때 충전탑 내의 평균속도는?

 

공극률 = 세공도 = 0.4

유효속도 = 공탑속도 = 0.8m/s

평균속도 = 공탑속도/세공도 = 2m/s

 

+) 탈거, 탈착

  • 온도를 높이거나 압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 액체와 기체가 맞흐름탑에서 이루어진다. 
  • 불활성 기체나 수증기가 탈거매체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수증기가 이용되면 응축될 수 있기 때문에 용질 회수가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