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추출
1. 추출(Extraction)
: 고체나 액체 중 가용성 성분을 적당한 용제로 용해, 분리하는 조작
- 추출상 : 추제가 풍부한 상
- 추잔상 : 불활성 물질이 풍부한 상
2. 추출장치
1) 고액추출
(1) 굵은 입자
- 다중단 추출장치, 침출조
- 연속추출기 : Bollmann형(Basket), Hildbrandt형(Screw), Rotocel형(회전)
(2) 잔물질
- Dorr 교반기
2) 액액추출
(1) 혼합침강기(Mixer - Settler) : 혼합조와 침강조가 연결된 것으로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정비가 적게 들고 조작조건과 추료나 추제의 종류도 광범위하다.
(2) 분무탑·충전탑 : 액체의 연속추출장치이다. 무거운 액을 상부로부터, 가벼운 액을 하부로부터 접촉시킨다.
(3) 다공판탑·방해판탑 : 다공판을 통해 액체 방울의 재형성, 재분산이 일어나도록 여러 번 반복하여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다공판탑의 변형인 방해판탑은 부식에 의해 구멍이 커지거나 막히는 일이 없으므로 현탁된 고체를 함유한 용액의 취급에 적당하다.
(4) Scheibel 탑 : 교반형 날개가 있으며 많이 사용된다.
(5) Podbielniak 추출기 : 비중차가 적은 액체에 이용된다.
3. 추출계산
1) 고액추출
(1) 다회추출 : 동일한 추료에 추제를 나누어 반복처리 하는 것이다.
- 추제비 = (분리된 추제의 양)/(남은 추제의 양)
- 추잔율, 추출률
(2) 향류 다단식 추출 계산
- 이상단 : 고체 - 액체 추출에서 추출상으로 나가는 용액의 농도와 추잔상의 고체에 붙어 있는 용액의 농도가 같은 것
- 고 - 액 추출(3성분) : 추질, 불활성 물질, 추제
- 물질수지
2) 액액추출
(1) 추질(Solute), 원용매(Diluent), 추제(Solvent)
(2) 초산 - 물 - 벤젠의 평형 도표
- 용해도 곡선 : 용액이 완전용해하여 균일상이 되는 점을 연결한 곡선 (SPB 곡선)
- M7 : 두 액상의 중량비
- P(상계점, 임계점, 상접점) : 추출상과 추잔상에서의 추질의 조성이 같은 점. Tie line(대응선)의 길이가 0이 된다. 2상이 1상이 된다. 이 점에서는 추출이 불가능하다.
- 용해도 곡선 내의 한 점 M7 : 두 액상이 되며, 추제가 많은 E7(추출상)과 원용매가 많은 R7(추잔상)이 평형상태이다.
- 평형곡선 : 추잔상에서 추질의 농도를 x, 추출상에서 추질의 농도를 y로 하여 액 - 액평형치를 나타낸 것을 평형곡선 또는 x - y 곡선이라 한다.
- 분배율과 분배법칙 : 농도가 묽을 경우 추출액상에서의 용질의 농도와 추잔액상의 용질의 농도의 비는 일정하다. 이 법칙을 분배법칙이라 하고, 그 비를 분배율이라 한다.
k = y/x = 추출상/추잔상 => 추제의 능력을 판단
- 공액선 : 대응선의 양 점으로 부터 수직·수평선을 그어 만나는 점을 공액선이라 하고, 이것과 용해도 곡선의 교점이 상계점이다.
(3) 추제의 선택
- 선택도가 커야한다.
상계점에서 선택도 = 1로 분리가 가능하다.
- 회수가 용이해야 한다.
- 값이 싸고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 비점 및 응고점이 낮으며 부식성과 유동성이 적고 추질과의 비중차가 클수록 좋다.
(4) 액액 추출계산
- 병류다단 추출
- 향류다단 추출
- 회분단 추출
- 삼각 도표
'화학공학 > 화공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위공정관리(8) 습도 목차정리 (0) | 2023.02.23 |
---|---|
단위공정관리(7) 물질전달 및 흡수 목차 정리 (0) | 2023.02.22 |
단위공정관리(5) 증류 목차 정리 (0) | 2023.02.17 |
단위공정관리(4) 열전달 목차 정리 (0) | 2023.02.17 |
단위공정관리(3) 유동현상 목차 정리 (0) | 2023.02.15 |